우리가 매주 마시는 신용카드 한장의 미세플라스틱
주범은 바로 플라스틱 생수
실제로 한 사람이 일주일간 평균적으로 섭취하는 미세 플라스틱 양은 약 2천 개로, 무게로 환산하면 5g. 신용카드 한 장 무게예요. 연간 신용카드 50장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수치이죠.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는 주된 경로는 음용수인데, 한 사람당 매주 미세 플라스틱 1,769개를 마시는 물로 섭취해요.
특히나 요즘은 보다 편리하게 물을 마시기 위해 생수를 많이 사서 마시죠. 정수기 설치가 귀찮기도 하고, 필터도 갈아줘야 하고. 게다가 배달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어서 정기 배송을 신청하는 분들도 많은 것 같아요.
실제로 국내 플라스틱 페트병 연간 소비량은 7만 1400t에 달한다고 해요. 시중에서 판매하는 생수병의 평균 지름이 10cm 일 때, 무려 지구의 10.6바퀴에 해당하는 수치인데요. 어마어마한 양이죠.
이런 플라스틱 생수는 생산-운반-폐기의 전 과정에서 수돗물과 비교해 700배 이상의 온실가스를 배출시켜요.
먼저, 플라스틱병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생수가 운반되는 과정에서 다시 탄소 발자국이 발생해요. 그리고 플라스틱 폐기물은 재활용되거나 버려지는데, 제품으로 다시 재활용되는 비율은 20%가량에 불과해요.
버려진 플라스틱 페트병은 작게 쪼개진 미세 플라스틱이 되어 강, 하천, 바다로 흘러가, 우리가 마셔야 할 물을 오염시켜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사람이 장기간 미세 플라스틱에 노출되면 플라스틱 속 화학물질들을 통해 당뇨병, 비만, 성 기능 장애, 불임, 암, 에너지 할당 감소 등의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커요. 이는 플라스틱의 주성분인 폴리머와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할 때 들어가는 첨가제, 그리고 미세 플라스틱이 환경에 노출된 이후 흡착된 화학적 오염물에 의한 영향 때문이라고 해요.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가 너무 작아 사실상 수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미세 플라스틱 문제의 해법은 지금보다 적게 생산하고 적게 버리는 수밖에 없어요🥺
오늘부터 생수보다는 텀블러에 물을 담아 다니는 습관을 들여보는 것 어떨까요? 이렇게 한 걸음 나아가 봅시다!
내용 출처
김봉수 (2021) “매주 카드 1장씩을 삼켰습니다”…시한폭탄 된 미세플라스틱, 아시아경제
여성환경연대 (2021) 오늘 ‘생수’ 사 먹은 당신이 놓쳐버린 사실, 오마이뉴스
원혜진 (2021) 우리가 1년에 먹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신용카드 ‘50개’다, 인사이트
안치용,김도연,임수진 (2021) 아이쿱이 ‘미세플라스틱0%’종이팩 생수를 만든 진자 이유, 르몽드디플로마티크
그린라이프를 응원합니다
오래오래 건강하게, 오랜
© oren all copyrights reserved by oren
instagram @oren_lifestyle
blog @orenlife
우리가 매주 마시는 신용카드 한장의 미세플라스틱
주범은 바로 플라스틱 생수
실제로 한 사람이 일주일간 평균적으로 섭취하는 미세 플라스틱 양은 약 2천 개로, 무게로 환산하면 5g. 신용카드 한 장 무게예요. 연간 신용카드 50장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수치이죠.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는 주된 경로는 음용수인데, 한 사람당 매주 미세 플라스틱 1,769개를 마시는 물로 섭취해요.
특히나 요즘은 보다 편리하게 물을 마시기 위해 생수를 많이 사서 마시죠. 정수기 설치가 귀찮기도 하고, 필터도 갈아줘야 하고. 게다가 배달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어서 정기 배송을 신청하는 분들도 많은 것 같아요.
실제로 국내 플라스틱 페트병 연간 소비량은 7만 1400t에 달한다고 해요. 시중에서 판매하는 생수병의 평균 지름이 10cm 일 때, 무려 지구의 10.6바퀴에 해당하는 수치인데요. 어마어마한 양이죠.
이런 플라스틱 생수는 생산-운반-폐기의 전 과정에서 수돗물과 비교해 700배 이상의 온실가스를 배출시켜요.
먼저, 플라스틱병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생수가 운반되는 과정에서 다시 탄소 발자국이 발생해요. 그리고 플라스틱 폐기물은 재활용되거나 버려지는데, 제품으로 다시 재활용되는 비율은 20%가량에 불과해요.
버려진 플라스틱 페트병은 작게 쪼개진 미세 플라스틱이 되어 강, 하천, 바다로 흘러가, 우리가 마셔야 할 물을 오염시켜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사람이 장기간 미세 플라스틱에 노출되면 플라스틱 속 화학물질들을 통해 당뇨병, 비만, 성 기능 장애, 불임, 암, 에너지 할당 감소 등의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커요. 이는 플라스틱의 주성분인 폴리머와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할 때 들어가는 첨가제, 그리고 미세 플라스틱이 환경에 노출된 이후 흡착된 화학적 오염물에 의한 영향 때문이라고 해요.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가 너무 작아 사실상 수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미세 플라스틱 문제의 해법은 지금보다 적게 생산하고 적게 버리는 수밖에 없어요🥺
오늘부터 생수보다는 텀블러에 물을 담아 다니는 습관을 들여보는 것 어떨까요? 이렇게 한 걸음 나아가 봅시다!
내용 출처
김봉수 (2021) “매주 카드 1장씩을 삼켰습니다”…시한폭탄 된 미세플라스틱, 아시아경제
여성환경연대 (2021) 오늘 ‘생수’ 사 먹은 당신이 놓쳐버린 사실, 오마이뉴스
원혜진 (2021) 우리가 1년에 먹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신용카드 ‘50개’다, 인사이트
안치용,김도연,임수진 (2021) 아이쿱이 ‘미세플라스틱0%’종이팩 생수를 만든 진자 이유, 르몽드디플로마티크
그린라이프를 응원합니다
오래오래 건강하게, 오랜
© oren all copyrights reserved by oren
instagram @oren_lifestyle
blog @oren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