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이 나오는 양은냄비
사진 출처 : 김해뉴스
맛있다고 소문난 ‘양은 냄비에 끓인 라면’. 아직도 드시나요?
라면을 양은 냄비에 자주 끓여 먹으면 빈혈이나 뇌 신경 장애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사실😵💫
꽤 오래전부터 널리 알려진 이야기인데, 여전히 많은 분들이 모르고 계신 것 같아요.
양은 냄비 이외에도 은박지에 감싼 고구마, 알루미늄 포일을 불판에 깔고 굽는 고기, 생선, 한강 공원에서 즉석조리기에 끓여 먹는 ‘한강 라면’ 모두 알루미늄 용기로 조리한 음식들이죠. 또한 최근 환경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캡슐커피 용기도 알루미늄 용기로 만들어져 판매되고 있어요.
양은 냄비는 아연(Zn)과 니켈(Ni) 등을 섞어 만든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냄비인데요. 엄청 가볍고 얇아서 물이 금방 끓는다는 특징이 있어, 덕분에 라면을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기도 하죠. 게다가 잘 녹슬지도 않아서 식당과 가정에서 널리 쓰이고 있어요.
그런데 2018년,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이 한 연구결과, 시중에 유통된 양은 냄비 등 알루미늄 조리기구 56개로 조리한 모든 냄비에서 알루미늄이 녹아 나왔다고 해요. 특히 산도나 염분이 높은 라면과 김치찌개 등을 조리할 때 더 많은 알루미늄이 검출되었고요.
알루미늄이 체내에 흡수되더라도 대부분 신장에서 걸러져 체외로 배출되어 당장은 큰 문제가 없을 수 있는데요. 100% 다 배출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예요. 지나치게 많이 노출됐을 때에는 빈혈·어지러움 등 뇌 신경 장애 등 구토, 설사를 유발하거나 신체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
게다가 체내에 쌓인 알루미늄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등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해요. 대한신경과학회지 보고서에 따르면 파킨슨병 증상을 호소한 40대 용접공의 중금속 검사 결과, 혈청 알루미늄 수치가 높았는데, 이 환자는 용접 일을 그만두자 혈청 알루미늄 농도가 정상 범위에 들어오게 됐고, 증세도 호전됐어요. 또 알츠하이머 환자들에 뇌에서 알루미늄 성분이 일반인에 비해 많이 검출됐다는 역학 연구도 있고요.
따라서 최대한 알루미늄 재질의 조리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 특히 어린아이가 먹는 음식을 양은 냄비에 조리하는 것은 피해야 하겠죠🚫
내용출처
박가영 (2020) 양은냄비 라면·캡슐커피 너무 좋아하면 '치매' 부른다, 머니투데이
그린라이프를 응원합니다
오래오래 건강하게, 오랜
© oren all copyrights reserved by oren
instagram @oren_lifestyle
blog @orenlife
알루미늄이 나오는 양은냄비
사진 출처 : 김해뉴스
맛있다고 소문난 ‘양은 냄비에 끓인 라면’. 아직도 드시나요?
라면을 양은 냄비에 자주 끓여 먹으면 빈혈이나 뇌 신경 장애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사실😵💫
꽤 오래전부터 널리 알려진 이야기인데, 여전히 많은 분들이 모르고 계신 것 같아요.
양은 냄비 이외에도 은박지에 감싼 고구마, 알루미늄 포일을 불판에 깔고 굽는 고기, 생선, 한강 공원에서 즉석조리기에 끓여 먹는 ‘한강 라면’ 모두 알루미늄 용기로 조리한 음식들이죠. 또한 최근 환경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캡슐커피 용기도 알루미늄 용기로 만들어져 판매되고 있어요.
양은 냄비는 아연(Zn)과 니켈(Ni) 등을 섞어 만든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냄비인데요. 엄청 가볍고 얇아서 물이 금방 끓는다는 특징이 있어, 덕분에 라면을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기도 하죠. 게다가 잘 녹슬지도 않아서 식당과 가정에서 널리 쓰이고 있어요.
그런데 2018년,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이 한 연구결과, 시중에 유통된 양은 냄비 등 알루미늄 조리기구 56개로 조리한 모든 냄비에서 알루미늄이 녹아 나왔다고 해요. 특히 산도나 염분이 높은 라면과 김치찌개 등을 조리할 때 더 많은 알루미늄이 검출되었고요.
알루미늄이 체내에 흡수되더라도 대부분 신장에서 걸러져 체외로 배출되어 당장은 큰 문제가 없을 수 있는데요. 100% 다 배출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예요. 지나치게 많이 노출됐을 때에는 빈혈·어지러움 등 뇌 신경 장애 등 구토, 설사를 유발하거나 신체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
게다가 체내에 쌓인 알루미늄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등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해요. 대한신경과학회지 보고서에 따르면 파킨슨병 증상을 호소한 40대 용접공의 중금속 검사 결과, 혈청 알루미늄 수치가 높았는데, 이 환자는 용접 일을 그만두자 혈청 알루미늄 농도가 정상 범위에 들어오게 됐고, 증세도 호전됐어요. 또 알츠하이머 환자들에 뇌에서 알루미늄 성분이 일반인에 비해 많이 검출됐다는 역학 연구도 있고요.
따라서 최대한 알루미늄 재질의 조리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 특히 어린아이가 먹는 음식을 양은 냄비에 조리하는 것은 피해야 하겠죠🚫
내용출처
박가영 (2020) 양은냄비 라면·캡슐커피 너무 좋아하면 '치매' 부른다, 머니투데이
그린라이프를 응원합니다
오래오래 건강하게, 오랜
© oren all copyrights reserved by oren
instagram @oren_lifestyle
blog @oren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