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석밥 용기는 재활용 안돼요!
사진출처 : 헤럴드경제
코로나19로 인해 외식은 꺼려지고, 그렇다고 삼시세끼 집밥을 차려 먹기도 힘들죠. 요즘같은 상황속에서 배달은 물론이고 가정간편식의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고 해요.
덩달아 즉석밥의 수요도 크게 증가했어요. 그런데 이 즉석밥 용기가 재활용되지 않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많은 분들이 분리수거 배출 표시를 확인하고 정성껏 씻어 말려 분리수거하지만, 정작 선별장에서 ‘재활용 부적합’으로 분류되어 버려지고 있어요.
즉석밥은 플라스틱 중에서도 OTHER에 해당 되는데요. 이는 2개 이상의 플라스틱 또는 기타 재질이 복합되어 있음을 의미해요. 이 경우에는 다른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물질 재활용’이 불가능해요.
똑같은 즉석밥 그릇만 따로 수거하지 않는 이상 복합 재질 플라스틱은 원료의 순도를 저하시킨다는 이유로, 현재로서는 물질 재활용이 불가능한 상황이죠😥
한편 다른 제품으로 재활용은 못해도 즉석밥 그릇을 태워 열 에너지를 만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는데요.
이미 비닐만으로도 필요량이 차고 넘치기 때문에 굳이 그릇까지 선별하지 않는 상황이에요. 그릇은 그냥 일반 쓰레기로 버리는 것이 편하고 경제적인 셈이죠.
그렇다고해서 앞으로 즉석밥 용기를 그냥 일반 쓰레기로 버리는 것이 맞다고 볼 수는 없어요.
분리배출 표시는 두 가지 의미를 가져요. 분리 배출하면 재활용하겠다는 정부와 생산자간의 약속이자, 소비자가 물건을 구입할 때 재활용 비용을 부담했다는 의미이죠.
때문에 분리배출 표시가 있는 기타 재질의 용기는 분리수거되어야 하며 선별장에서 선별하여 재활용되는 것이 맞아요.
분리배출 표시가 되어 있는데 일반 쓰레기로 버리는 건, 우리가 지금껏 쌓아온 분리배출 문화의 퇴보를 불러올거예요.
사실 즉석밥 소비를 줄이는 것이 재활용문제의 궁극적인 대안이 될 수 있겠죠. 많은 분들이 조금 불편하지만, 즉석밥을 완전히 끊고 다회용 냉동밥 용기에 밥을 얼려 먹기를 선택하고 있어요.
하지만, 즉석밥을 완전히 없애지 못한다면, 우선적으로는 지금처럼 열심히 씻고 말려 분리수거해서 정부와 생산자를 대상으로 재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구 해야해요.
우리의 관심과 노력이 재활용이 가능한 용기 혹은 재활용된 플라스틱으로 된 용기처럼 친환경적인 대체재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해요!💪
출처
즉석밥 용기는 재활용이 안된다는데 사실인가요? (2021), 서울환경연합
김민제 (2020) 햇반, 너마저 재활용 불가…나는 왜 열심히 씻은 거니?, 한겨레
그린라이프를 응원합니다
오래오래 건강하게, 오랜
© oren all copyrights reserved by oren
instagram @oren_lifestyle
blog @orenlife
즉석밥 용기는 재활용 안돼요!
사진출처 : 헤럴드경제
코로나19로 인해 외식은 꺼려지고, 그렇다고 삼시세끼 집밥을 차려 먹기도 힘들죠. 요즘같은 상황속에서 배달은 물론이고 가정간편식의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고 해요.
덩달아 즉석밥의 수요도 크게 증가했어요. 그런데 이 즉석밥 용기가 재활용되지 않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많은 분들이 분리수거 배출 표시를 확인하고 정성껏 씻어 말려 분리수거하지만, 정작 선별장에서 ‘재활용 부적합’으로 분류되어 버려지고 있어요.
즉석밥은 플라스틱 중에서도 OTHER에 해당 되는데요. 이는 2개 이상의 플라스틱 또는 기타 재질이 복합되어 있음을 의미해요. 이 경우에는 다른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물질 재활용’이 불가능해요.
똑같은 즉석밥 그릇만 따로 수거하지 않는 이상 복합 재질 플라스틱은 원료의 순도를 저하시킨다는 이유로, 현재로서는 물질 재활용이 불가능한 상황이죠😥
한편 다른 제품으로 재활용은 못해도 즉석밥 그릇을 태워 열 에너지를 만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는데요.
이미 비닐만으로도 필요량이 차고 넘치기 때문에 굳이 그릇까지 선별하지 않는 상황이에요. 그릇은 그냥 일반 쓰레기로 버리는 것이 편하고 경제적인 셈이죠.
그렇다고해서 앞으로 즉석밥 용기를 그냥 일반 쓰레기로 버리는 것이 맞다고 볼 수는 없어요.
분리배출 표시는 두 가지 의미를 가져요. 분리 배출하면 재활용하겠다는 정부와 생산자간의 약속이자, 소비자가 물건을 구입할 때 재활용 비용을 부담했다는 의미이죠.
때문에 분리배출 표시가 있는 기타 재질의 용기는 분리수거되어야 하며 선별장에서 선별하여 재활용되는 것이 맞아요.
분리배출 표시가 되어 있는데 일반 쓰레기로 버리는 건, 우리가 지금껏 쌓아온 분리배출 문화의 퇴보를 불러올거예요.
사실 즉석밥 소비를 줄이는 것이 재활용문제의 궁극적인 대안이 될 수 있겠죠. 많은 분들이 조금 불편하지만, 즉석밥을 완전히 끊고 다회용 냉동밥 용기에 밥을 얼려 먹기를 선택하고 있어요.
하지만, 즉석밥을 완전히 없애지 못한다면, 우선적으로는 지금처럼 열심히 씻고 말려 분리수거해서 정부와 생산자를 대상으로 재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구 해야해요.
우리의 관심과 노력이 재활용이 가능한 용기 혹은 재활용된 플라스틱으로 된 용기처럼 친환경적인 대체재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해요!💪
출처
즉석밥 용기는 재활용이 안된다는데 사실인가요? (2021), 서울환경연합
김민제 (2020) 햇반, 너마저 재활용 불가…나는 왜 열심히 씻은 거니?, 한겨레
그린라이프를 응원합니다
오래오래 건강하게, 오랜
© oren all copyrights reserved by oren
instagram @oren_lifestyle
blog @orenlife